안녕하세요. 성내동정형외과, 더편한마디의원 신원장입니다. 수험생들은 장시간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허리 통증을 겪기 쉽습니다. 잘못된 자세와 운동 부족은 허리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험생의 허리 통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수험생 허리 통증의 원인
수험생들이 허리 통증을 겪게 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잘못된 자세
- 책상에 앉아 공부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 구부정한 자세로 앉는 경우 허리와 척추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집니다.
-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장시간 책을 보거나 화면을 볼 때 허리에 부담이 가중됩니다.
장시간 앉아 있음
-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 앉아 있는 경우 척추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허리 통증이나 디스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앉아 있는 동안 혈액순환이 감소하고 근육이 긴장되며,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무거운 가방 사용
- 수험생들이 무거운 가방을 한쪽 어깨로만 메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들면 허리에 부담이 증가합니다.
- 특히 무거운 교재와 노트북을 들고 다닐 때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집니다.
운동 부족
- 공부에 집중하다 보면 운동을 소홀히 하게 되며, 이는 허리와 복부 근육의 약화를 초래합니다.
- 근육이 약해지면 척추를 지탱하는 힘이 부족해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성내동정형외과 허리 통증의 증상
허리 통증은 경미한 불편감에서부터 심각한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소적 통증: 허리 특정 부위에서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짐.
- 근육 경직: 허리 근육이 뻣뻣해지고 움직임이 제한됨.
- 방사통: 통증이 엉덩이나 다리로 퍼질 수 있음.
- 기능 저하: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을 때 통증이 악화되며, 움직이기가 어려워짐.

3. 진단 방법
허리 통증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문진 및 신체 검사
- 환자의 자세, 걸음걸이, 척추 정렬 상태를 확인합니다.
- 통증 부위를 눌러 민감도를 평가하고 움직임을 분석합니다.
영상 검사
- X-ray: 척추의 구조 이상을 확인합니다.
- MRI/CT: 디스크 탈출이나 신경 압박 여부를 상세히 평가합니다.
혈액 검사
- 염증성 질환(예: 강직성 척추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ESR 및 CRP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4. 치료 방법
4.1 비수술적 치료
- 자세 교정: 의자와 책상의 높이를 조정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합니다.
- 물리치료 및 운동: 물리치료를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높이는 운동을 권장합니다. (예: 플랭크, 코브라 자세)
-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나 근육 이완제를 단기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합니다.
4.2 대체 요법
- 요가, 마사지: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3 수술적 치료
- 디스크 탈출이나 신경 압박이 심각한 경우, 디스크 절제술과 같은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허리 통증 예방 방법
수험생의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을 실천하세요.
- 규칙적인 운동: 걷기, 수영 등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합니다.
- 올바른 자세 유지: 의자에 앉을 때 허리와 엉덩이를 등받이에 바짝 붙이고 허리를 곧게 펍니다.
- 가방 관리: 무거운 가방은 양쪽 어깨로 번갈아 메고, 어깨끈이 넓고 패딩 처리된 것을 사용합니다.
- 휴식과 스트레칭: 매 1시간마다 5~10분씩 일어나서 가벼운 스트레칭을 실시하세요.

6. 결론
수험생의 허리 통증은 잘못된 자세와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습관에서 발생합니다.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운동을 통해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허리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