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천호동정형외과, 더편한마디의원 신원장입니다. 발가락 관절이 욱신거리거나 붓는 증상은 많은 사람들이 겪는 흔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잠깐 아프다 말겠지’ 하고 넘기기엔 관절 건강에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발가락 통증의 주요 원인부터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및 예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발가락 관절 통증의 주요 원인
1.1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 노화, 과사용에 의해 연골이 닳아 발생
- 주로 엄지발가락 관절(MTP joint)에서 통증과 붓기 동반
1.2 통풍 (Gout)
- 요산 결정이 관절에 쌓여 발생
- 극심한 통증, 열감, 붓기
- 고단백 식단, 음주, 가족력 등 연관
1.3 류마티스 관절염
- 자가면역 질환
- 대칭성 통증, 아침에 뻣뻣함 지속
1.4 무지외반증
-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는 변형
- 하이힐, 유전, 좁은 신발 등이 원인

1.5 지간신경종
- 발가락 사이 신경 압박 → 찌릿하거나 화끈한 통증
1.6 세사모이드염
- 발가락 밑 세사모이드 뼈 염증
- 발끝을 디딜 때 통증

2. 대표적인 증상
- 지속적 또는 간헐적인 통증
- 붓기, 열감, 관절 움직임 제한
- 걸을 때 통증 증가
- 감각 저하나 저림
- 발가락 변형
3. 정확한 진단 방법
3.1 병력 청취
- 통증 시기, 가족력, 식습관 등 확인
3.2 신체 검사
- 관절의 압통, 부기, 움직임 범위 평가
3.3 영상 검사
- X-ray: 관절 간격, 골증식 등
- MRI: 연골 손상, 활막염 등
3.4 혈액 검사
- 요산 수치 (통풍), 염증 수치(CRP, ESR), RF 등

4. 치료 방법
4.1 천호동정형외과 비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
- NSAIDs (소염진통제)
- 통풍 관련 약물 (콜히친, 요산저하제)
- 스테로이드 주사
물리치료/도수치료
- 관절 가동성 유지
- 체외충격파, 온찜질, 냉찜질 등
보조기구
- 맞춤형 깔창, 발가락 보호대, 패드 등
생활습관 개선
- 발볼 넓은 신발, 낮은 굽 착용
- 체중 조절로 발 압력 감소
4.2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호전 없을 때)
- 무지외반 교정술
- 골 절제술
- 관절 융합술
- 신경종 제거술

5. 예방법 및 생활 관리 팁
- 발가락 과사용 피하기
-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
- 고퓨린 식단 피하기 (통풍 예방)
- 체중 관리
- 장시간 서 있을 때는 중간중간 휴식

결론
발가락 관절 통증은 단순한 불편감이 아닌, 퇴행성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증상이 반복되거나 보행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해진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정기적인 발 건강 관리와 예방 운동으로 건강한 발을 유지하세요.
🦶 발 건강은 걸음걸이의 시작입니다. 지금부터 실천해보세요!